2025 2035 NDC 목표 설정 관련 자동차부품업계 성명서 발표 기자간담회 개최
페이지 정보

본문
조합은 10월 13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정부가 논의 중인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수송부문 무공해차 보급 계획에 대한 자동차부품업계의 입장을 밝혔다.
조합은 “미국의 25% 고율 관세부과와 글로벌 공급망 불안, 내수 침체 등으로 업계가 이미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과도한 무공해차 보급 목표는 산업 전반에 이중, 삼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35년 목표가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으로 설정되어 현 국내 산업과 시장 여건상 달성이 어렵다며, 현실적인 수준인 550만~650만 대로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내연기관 부품기업이 전체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급격한 전환은 고용 불안과 산업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하이브리드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e-fuel 등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을 함께 인정해야 한다고 제언했으며,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의 실효성 확보, 전동화 전환기업에 대한 금융·R&D 지원 확대 등 실질적 지원책 마련도 요청했다.
조합 이택성 이사장은 “산업과 일자리를 지키는 길이 곧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길”이라며 “정부가 업계의 현실을 반영한 균형 있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합은 “미국의 25% 고율 관세부과와 글로벌 공급망 불안, 내수 침체 등으로 업계가 이미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과도한 무공해차 보급 목표는 산업 전반에 이중, 삼중의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2035년 목표가 전기차와 수소차 중심으로 설정되어 현 국내 산업과 시장 여건상 달성이 어렵다며, 현실적인 수준인 550만~650만 대로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내연기관 부품기업이 전체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는 만큼, 급격한 전환은 고용 불안과 산업 생태계 붕괴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아울러 하이브리드차(H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e-fuel 등 다양한 온실가스 감축 수단을 함께 인정해야 한다고 제언했으며, 미래차부품산업특별법의 실효성 확보, 전동화 전환기업에 대한 금융·R&D 지원 확대 등 실질적 지원책 마련도 요청했다.
조합 이택성 이사장은 “산업과 일자리를 지키는 길이 곧 국가의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길”이라며 “정부가 업계의 현실을 반영한 균형 있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전글장동혁 국민의힘 당대표 초청 중소기업인 간담회 참석 25.10.31
- 다음글「산업부 자동차과장 초청」 자동차부품업계 간담회 개최 25.10.17